개요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를 이해하기위한 기초 용어/네트워크의 구조/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랜과 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 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1.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파일)을 보낼 수 있다.
2. 컴퓨터 간의 데이터(파일)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 등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 컴퓨터가 한 대만 존재한다면 할 수 없는 일을 여러대의 컴퓨터 간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
인터넷이란?
네트워크의 한 종류로,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전 세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해외 웹 사이트도 볼 수 있는 것이다.
패킷이란?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규칙이 필요하다. 그 규칙을 패킷이라 한다.
패킷은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말한다.
-> 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것이다.
왜 굳이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가?
큰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보내게되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많이 점유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데이터가 큰 사진이 있을때 이 사진이 다른 패킷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사진을 패킷으로 분할하여 작은 패킷으로 만들고 목적지까지 보낸다. 하지만 송신 과정에서 패킷이 제각각 도착하거나, 누락될 가능성이 있어 송신측에서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수신측으로 보낸다. 이를통해 패킷이 제각각 도착하더라도 순서에 맞추어 원래 상태의 사진으로 도착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와 비트(bit)/바이트(byte)/문자 코드란?
디지털 데이터
모든 컴퓨터는 숫자 0과 1만을 다룬다.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고 한다.
숫자 0과 1만으로도 우리가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사진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bit)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bit)라고 한다.
바이트(byte)
비트를 통해 0 또는 1인 숫자 8개를 모아서 표현할 수 있다.
이 단위를 바이트(byte)라고 한다. 즉 8비트는 1바이트가 된다.
문자 코드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를 문자 코드라고 한다.
문자 코드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우리가 많이 들어봤던 아스키(ASCII) 코드가 있다.
문자 또한 마찬가지로 송/수신 과정에서 패킷으로 나누어서 보낼 수 있다.
랜(LAN)과 왠(WAN)
네트워크는 접속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크게 두 종류인 랜과 왠으로 나눌 수 있다.
랜의 맨 앞 글자인 L은 Local이고, 왠의 맨 앞 글자인 W는 Wide를 뜻한다.
랜(LAN)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를 랜(LAN)이라고 한다.
가정이나 빌딩 안의 사무실 등 지리적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이다.
왠(WAN)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를 왠(WAN)이라고 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이다.
랜과 랜을 연결하는 것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위에서 언급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란 인터넷 상용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는 KT, U+, SK브로드밴드와 같은 사업자를 말한다.
랜(LAN)과 왠(WAN)의 비교
랜 | 왠 | |
범위 | 좁다(건물이나 특정 지역) | 넓다(랜과 랜을 연결) |
속도 | 빠르다 | 느리다 |
오류 | 적다 | 많다. |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랜(LAN)을 사용하며,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인터넷 회선, 인터넷 공유기를 결정해야한다.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내부 인터넷망(사설망)을 구성하고 다양한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접속) 방식은 유선 랜 방식과 무선 랜 방식으로 나뉘는데 유선은 랜 케이블이 필요한 연결 방식이고, 무선은 랜 케이블이 필요없는 연결 방식이다.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회사에서 구성하는 랜에는 다양한 서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의 랜 구성과 눈에 띄게 다른 점으로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존재한다. DMZ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DMZ는 서버를 공개하는데 주로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를 공개한다.
웹 서버 -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려면 외부에 공개해야한다.
메일 서버 - 외부 사용자와 메일을 주고받으려면 메일 서버를 외부에 공개해야한다.
DNS 서버 -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의 서버에 접속하려면 DNS 서버를 외부에 공개해야한다.
회사에서는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서버를 사내에 설치하거나 데이터 센터에 두거나 클라우드를 두는 방법들이 있다.
사내에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회사 내에 서버 장비실을 두고 그곳에 랙(선반)을 설치한다. 랙 안에는 라우터와 스위치를 설치하고 서버를 두고 관리한다. 라우터는 무선 랜 기능이 있는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와 연결하거나 무선 랜 기능을 통해 랜에 연결해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참고로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을 온프레미스(on-premise)라고 한다. 회사의 서버는 온프레미스나 클라우드로 운영되고 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계층과 이더넷 (0) | 2022.04.12 |
---|---|
[네트워크] 리피터와 허브 (0) | 2022.04.12 |
[네트워크]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0) | 2022.04.08 |
[네트워크] OSI 모델 1계층 - 물리 계층 (0) | 2022.04.08 |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규칙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