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내용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내용은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책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네트워크란?네트워크란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의미합니다.여기서 노드란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하고,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의미합니다.처리량과 지연 시간모든 기업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좋은’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여기서 ‘좋은’ 네트워크란 무엇을 의미할까요?좋은 네트워크란 많은 처리량을 보여주며 지연 시간(latency)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은 좋은 보안의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처리량(throughput)은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개요 이번 글에서는 케이블에 데이터가 아무리 많이 전송되어도 데이터가 충돌하지 않는 구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통신 방식의 종류 통신 방식에는 전이중 통신 방식과 반이중 통신 방식이 있다. 전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이고, 반이중 통신 방식은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면서 통신하는 방식이다. 또한 전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지만, 반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통신 방식 예시 컴퓨터1과 컴퓨터2가 있다고 가정할때 이 둘을 직접 렌 케이블로 연결한다면 8개, 즉 선 4쌍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이중 통신 방식이 되는 것이다..
개요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 구성에서 빠질 수 없는 스위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스위치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고 레이어 2 스위치 또는 스위칭 허브라고도 불린다. 허브와 다르게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스위치의 특징 스위치 내부에는 MAC 주소 테이블이라는 것이 있는데 MAC 주소 테이블은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등록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스위치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는 아직 MAC 주소 테이블에 아무것도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 주소가 추가된 프레임이라는 데이터가 전송되면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고 출발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개요 이번 글에서는 랜 카드를 제조할 때 정해지는 물리적인 주소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MAC 주소란? 랜 카드는 비트열(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랜 카드에는 MAC 주소라는 번호가 정해져 있다. 제조할 때 새겨지기 때문에 물리 주소라고도 불리는데 전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로 할당되어 있다. 48비트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쪽 24비트는 랜 카드를 만든 제조사 번호이고 뒤쪽 24비트는 제조사가 랜 카드에 붙인 일련번호이다. EX) 00-23-AE-D9-7A-9A -> 00-23-AE(제조사 번호), D9-7A-9A(일련 번호) MAC 주소를 사용한 통신 OSI 모델이나 TCP/IP 모델을 떠올려 보면 각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