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계층과 이더넷

개요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OSI 모델의 한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한다. 이더넷(Ethernet)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 그 규칙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이다. 즉, 이더넷은 랜에서 적용되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 허브를 통해 컴퓨터 여러 대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데이터들이 서로 부딪힐 수도 있는데 이것..

네트워크

[네트워크] 리피터와 허브

개요 이번 글에서는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리피터와 허브?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에는 리피터와 허브라는 것이 존재한다. 리피터 리피터는 전기 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이다. 멀리 있는 상대방과도 통신할 수 있도록 파형을 정상으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요즘에는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리피터를 쓸 필요가 없다. 허브 허브는 포트(실제로 통신하는 통로)를 여러 개 가지고 있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일대일 통신만 가능한 반면 허브는 포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 컴퓨터 여러 대와도 통..

네트워크

[네트워크]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개요 이번 글에서는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전송 매체란? 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로 종류가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뉜다. 유선에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광케이블 등이 있고, 무선에는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등이 있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랜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종류로는 UTP 케이블과 STP 케이블이 있다. UTP 케이블은 구리 선 8개를 2개씩 꼬아 만든 네 쌍의 전선으로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은 케이블이다. 실드는 금속 호일이나 금속의 매듭과 같은 것으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막는 역할을 한다. UTP 케이블은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아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지..

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규칙

개요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의 규칙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프로토콜이란?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예를들어 프랑스인과 한국인이 대화를 한다면 처음에는 말이 통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서로 영어를 사용한다는 규칙을 정한다면 서로 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부터 상대방에게 도착할 때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들을 거쳐야한다. OSI 모델의 생성 배경 옛날에는 A사와 B사의 컴퓨터가 통신 할 수 없었던 상황도 종종 있었다.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표준 규격을 정해야만 했고, 이를 위해 ISO라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OSI 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한 것이다.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