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번 글에서는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리피터와 허브?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에는 리피터와 허브라는 것이 존재한다.
리피터
리피터는 전기 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이다. 멀리 있는 상대방과도 통신할 수 있도록 파형을 정상으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요즘에는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리피터를 쓸 필요가 없다.
허브
허브는 포트(실제로 통신하는 통로)를 여러 개 가지고 있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일대일 통신만 가능한 반면 허브는 포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 컴퓨터 여러 대와도 통신할 수 있다. 랜 케이블을 사용하여 컴퓨터와 허브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허브 또한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컴퓨터에서 보낸 전기 신호가 허브에 도착하는 동안 노이즈의 영향으로 파형이 변경될 때 허브가 파형을 정상적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한다.
허브의 단점 - 더미 허브(Dummy Hub)
허브는 컴퓨터 여러 대를 서로 연결하는 장치로도 사용되어 직접 컴퓨터끼리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할 수 있다. 하지만 허브는 어떤 특정 포트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면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에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징이 있다. 예를들어 컴퓨터1에서 컴퓨터2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컴퓨터2만 데이터를 받는 것이 맞지만 컴퓨터3, 컴퓨터4, 컴퓨터5로 불필요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같이 전기 신호를 모든 포트로 보내는 상황 때문에 더미 허브라고도 불린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MAC 주소의 구조 (0) | 2022.04.13 |
---|---|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계층과 이더넷 (0) | 2022.04.12 |
[네트워크]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0) | 2022.04.08 |
[네트워크] OSI 모델 1계층 - 물리 계층 (0) | 2022.04.08 |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규칙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