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초

개요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내용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내용은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책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네트워크란?네트워크란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의미합니다.여기서 노드란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하고,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의미합니다.처리량과 지연 시간모든 기업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좋은’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여기서 ‘좋은’ 네트워크란 무엇을 의미할까요?좋은 네트워크란 많은 처리량을 보여주며 지연 시간(latency)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은 좋은 보안의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처리량(throughput)은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네트워크

[네트워크] 내부망 TO 내부망을 탈 때 애플리케이션의 IP 수집

개요 이번 글에서는 내부망 TO 내부망에 있는 웹서버를 탈 때 애플리케이션의 IP 수집과 관련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배경 사내 프로젝트 QA 환경에서 결제 API를 사용 중에 문제를 만났다. 분명 한국에서 VPN 없이 결제 시도를 했는데 해외 결제 모듈이랑 연동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결제 모듈을 불러오는 방식은 아래 플로우와 같다. Client IP 수집 수집된 IP 기반으로 국가 코드 조회 API 요청 Response된 국가 코드를 통해 결제 API 요청시 같이 파라미터로 넣어 요청 하지만 이때 국내 IP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코드 조회 API가 US(미국)라는 국가 코드를 반환했다. 해당 API의 파라미터 로그를 확인해보니 IP가 사내 Private IP로 잡혀 전달되고 있었던 것이었다. IP ..

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개요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네트워크 계층의 기본적인 역할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네트워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즉,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인 것이다. 라우터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라는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하다. 가정에서도 라우터를 설치하면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고, 멀리 해외로도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이처럼 라우터는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 알려준다. 이렇게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

네트워크

[네트워크]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

개요 이번 글에서는 케이블에 데이터가 아무리 많이 전송되어도 데이터가 충돌하지 않는 구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통신 방식의 종류 통신 방식에는 전이중 통신 방식과 반이중 통신 방식이 있다. 전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이고, 반이중 통신 방식은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면서 통신하는 방식이다. 또한 전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지만, 반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통신 방식 예시 컴퓨터1과 컴퓨터2가 있다고 가정할때 이 둘을 직접 렌 케이블로 연결한다면 8개, 즉 선 4쌍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이중 통신 방식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