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번 글에서는 AWS RDS로 생성한 DB 인스턴스가 외부에서 접근이 안될 때 확인해 봐야 하는 사항들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퍼블릭 액세스 가능 여부 확인 DB 인스턴스가 퍼블릭 액세스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한다. 만약 불가능한 상태라면 편집을 통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주자 2. 인바운드 규칙 확인 DB 인스턴스가 사용하고 있는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해 주었는지 확인해 준다. 3. Public한 서브넷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 AWS 콘솔에서 VPC -> 라우팅 테이블 메뉴에 들어간다. 후에 RDS가 사용하는 라우팅 테이블을 클릭하여 Public한 서브넷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해 준다. 만약 서브넷의 라우팅 테이블에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서브넷에 위치한..
개요 이번 글에서는 EC2 + 톰캣을 통해 WAR를 배포하는 과정에서 404 에러를 만났을 때 확인해 봐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JDK 버전 확인 아마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을 간과할 거 같은데 꼭 확인해 주어야 한다. 필자도 톰캣과 JDK 버전의 미스매칭으로 배포할 때 굉장히 애먹었었다. 특히 이 부분 같은 경우에는 Tomcat 로그에서도 에러 로그를 찍어주지 않고 정상적으로 배포된 것처럼 보이기에 영문도 모른 채 404 에러를 직면할 수도 있다. EC2에 올려서 배포하기 전에 시험 삼아 로컬에서 Tomcat으로 프로젝트를 띄어보고 로컬 환경과 EC2 환경을 동일하게 구성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2. Tomcat에서 Path를 올바르게 지정해 주었는지 확인 WAR를 바로 Ro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