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구성 - 스위치

개요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 구성에서 빠질 수 없는 스위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스위치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고 레이어 2 스위치 또는 스위칭 허브라고도 불린다. 허브와 다르게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스위치의 특징 스위치 내부에는 MAC 주소 테이블이라는 것이 있는데 MAC 주소 테이블은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등록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스위치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는 아직 MAC 주소 테이블에 아무것도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 주소가 추가된 프레임이라는 데이터가 전송되면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고 출발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네트워크

[네트워크] MAC 주소의 구조

개요 이번 글에서는 랜 카드를 제조할 때 정해지는 물리적인 주소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MAC 주소란? 랜 카드는 비트열(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랜 카드에는 MAC 주소라는 번호가 정해져 있다. 제조할 때 새겨지기 때문에 물리 주소라고도 불리는데 전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로 할당되어 있다. 48비트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쪽 24비트는 랜 카드를 만든 제조사 번호이고 뒤쪽 24비트는 제조사가 랜 카드에 붙인 일련번호이다. EX) 00-23-AE-D9-7A-9A -> 00-23-AE(제조사 번호), D9-7A-9A(일련 번호) MAC 주소를 사용한 통신 OSI 모델이나 TCP/IP 모델을 떠올려 보면 각 계..

네트워크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계층과 이더넷

개요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OSI 모델의 한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한다. 이더넷(Ethernet)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 그 규칙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이다. 즉, 이더넷은 랜에서 적용되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 허브를 통해 컴퓨터 여러 대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데이터들이 서로 부딪힐 수도 있는데 이것..

네트워크

[네트워크] 리피터와 허브

개요 이번 글에서는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라는 책을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예정이다. 리피터와 허브?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에는 리피터와 허브라는 것이 존재한다. 리피터 리피터는 전기 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이다. 멀리 있는 상대방과도 통신할 수 있도록 파형을 정상으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요즘에는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리피터를 쓸 필요가 없다. 허브 허브는 포트(실제로 통신하는 통로)를 여러 개 가지고 있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일대일 통신만 가능한 반면 허브는 포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 컴퓨터 여러 대와도 통..

Doshisha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1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