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 변수의 타입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기본형(Primitive type)/참조형(Reference type)
변수의 타입은 기본형과 참조형 두 가지로 나뉜다.
1) 기본형(Primitive type)
기본형은 오직 8개를 가지고 있다.
논리형 - boolean, 문자형 - char,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 float, double 이렇게 총 8가지를 가지고 있다.
2) 참조형(Reference type)
참조형은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를 말한다.(String, System 등)
참조형 같은 경우는 우리가 얼마든지 마음대로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수가 정해져있지 않다.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 {
//기본형 -> 8개 고정
int a = 3;
boolean flag = false;
float pi = 3.14f;
//참조형 ->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String, System 등)
Date today = new Date();
String s = new String();
}
}
기본형과 참조형의 대표적인 차이로는 기본형은 실제 값을 저장하지만 참조형은 메모리 주소(4 byte or 8 byte)를 저장한다는 차이가 있다. 4 byte or 8 byte라는 것은 JVM(Java Virtual Machine)이 32bit(->4 byte)냐 64bit(->8 byte)냐에 따라 참조형 변수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렇듯 참조형 변수는 객체의 주소를 저장하기위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Date today = new Date();
위 코드는 참조형 변수 today를 선언하고 객체를 생성해서 today에 객체의 주소를 저장시킨 것이다. 만약 new Date()를 통해 생성된 주소가 200번지라면 today에는 200번지라고 하는 주소가 저장되는 것이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Java에서 AES-256 사용하기 (0) | 2022.08.31 |
---|---|
[Java] Java - 비밀번호 유효성 체크 유틸 (0) | 2022.08.29 |
[Java] Java - System.lineSeparator() 매서드 (0) | 2022.08.25 |
[Java] Java Collection Framework - List, Set, Map (0) | 2022.05.03 |
[Java] String 클래스에 대하여 (0) | 2022.04.04 |
개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 변수의 타입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기본형(Primitive type)/참조형(Reference type)
변수의 타입은 기본형과 참조형 두 가지로 나뉜다.
1) 기본형(Primitive type)
기본형은 오직 8개를 가지고 있다.
논리형 - boolean, 문자형 - char,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 float, double 이렇게 총 8가지를 가지고 있다.
2) 참조형(Reference type)
참조형은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를 말한다.(String, System 등)
참조형 같은 경우는 우리가 얼마든지 마음대로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수가 정해져있지 않다.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 {
//기본형 -> 8개 고정
int a = 3;
boolean flag = false;
float pi = 3.14f;
//참조형 ->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String, System 등)
Date today = new Date();
String s = new String();
}
}
기본형과 참조형의 대표적인 차이로는 기본형은 실제 값을 저장하지만 참조형은 메모리 주소(4 byte or 8 byte)를 저장한다는 차이가 있다. 4 byte or 8 byte라는 것은 JVM(Java Virtual Machine)이 32bit(->4 byte)냐 64bit(->8 byte)냐에 따라 참조형 변수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렇듯 참조형 변수는 객체의 주소를 저장하기위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Date today = new Date();
위 코드는 참조형 변수 today를 선언하고 객체를 생성해서 today에 객체의 주소를 저장시킨 것이다. 만약 new Date()를 통해 생성된 주소가 200번지라면 today에는 200번지라고 하는 주소가 저장되는 것이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Java에서 AES-256 사용하기 (0) | 2022.08.31 |
---|---|
[Java] Java - 비밀번호 유효성 체크 유틸 (0) | 2022.08.29 |
[Java] Java - System.lineSeparator() 매서드 (0) | 2022.08.25 |
[Java] Java Collection Framework - List, Set, Map (0) | 2022.05.03 |
[Java] String 클래스에 대하여 (0) | 2022.04.04 |